본문 바로가기

Language/Type Script14

[Type Script] 커스텀 타입의 유니온, any와 unknown 차이, 연습문제 풀어보기 서론 Type Script를 공부하기 전에 js를 많이 공부 안 해서 조금 힘들었다. js도 다시 복습해야할 듯 ,,,ㅎㅎ 유니온이란? 유니온 타입은 변수에 지정할 수 있는 타입이 여러 개일 때 사용한다. 여기서 함수의 인자값인 padding은 string, number 등의 원시타입을 포함한 유니온 타입에 해당된다. 커스텀 타입을 이용한 유니온 타입 커스텀 타입은 위 코드에서 보이는 것처럼 사용자가 정의한 class, interface 등이 될 수 있다. 이 커스텀 타입을 두 개 이상 가지는 유니온 타입도 만들어볼 수 있는데, 위 코드에선 Shape가 유니온 타입이다. 그리고 두 interface는 kind라는 프로퍼티를 공통으로 가지고 있다. 이 프로퍼티는 두 interface를 구분하는 식별자로 사.. 2022. 1. 23.
[Type Script] 커스텀 타입 (class, interface), var let const 차이 서론 이번 글은 저번에 글에 이어서 타입에 대해 배워보도록 하겠다. 백신 맞고 와서 글이 조금 부족할 수 있다 (내 팔...) 기초 : var, let, const의 차이 1. var 변수 선언 후 재선언, 재할당 둘 다 가능하다. 그러나 코드 구현에 용이하지 않아 잘 사용되지 않는 추세이다. 2. let 변수 선언 후 재선언은 불가능하나, 재할당은 가능하다. var과 달리 선언과 초기화가 분리되어 실행된다. 즉, 변수 선언 전에 사용 시 인식하지 못하고, 변수 선언 후 초기화 전에 사용 시 값이 없다. 3. const 변수 선언 후 재선언, 재할당 둘 다 불가능하다. 변하지 않는 상수 클래스 내 커스텀 타입 사용 js와 달리 ts에선 클래스 프로퍼티를 선언하는 구문이 존재한다. 위 코드와 작성할 수 있.. 2022. 1. 21.